본문 바로가기

Java Log

Java / Switch-case 문(스위치문) 정리 및 예제 / 점수 별 학점 분류

Switch /case 문

Switch /case문은 if문과 같은 조건문입니다. if문 보다 조건이 간결할 때 주로 사용되어집니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        Scanner scanner = new Scanner(System.in);
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ln("숫자를 입력하세요 : ");
        int num1 = scanner.nextInt(); // 숫자 입력
        int result = num1%2; // 입력받은 숫자 %2
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switch(result) {
        case 0: // result 변수가 0이면 "짝수입니다" 실행문 실행
    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ln("짝수 입니다.");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 // 실행문 실행 후 switch문 종료
        case 1: // result 변수가 1이면 "홀수입니다" 실행문 실행
    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ln("홀수 입니다.");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 // 실행문 실행 후 switch 종료
        default: // 둘다 아닐 경우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
        }
cs

Switch문 출력 결과

위 Code에서 입력받은 숫자를 2로 나눈 나머지 값을 result 변수에 저장시킵니다.  그 후 switch / case문을 이용해 result 의 값을 판별하여

값이 0일 경우 "짝수입니다"를 출력 후 break를 이용해 switch문을 종료 하고 값이 1일경우 "홀수 입니다."를 출력해 break를 이용해 switch문을 종료 합니다. break를 사용하지 않으면 switch문이 종료되지않고 다음 switch문으로 넘어가게 되니 주의하여 사용해 주는게 중요 합니다.

 

 

Switch /case 문 예제

사용자로부터 점수를 입력받아 점수가 90이상이면 'A', 90미만 80이상이면 'B', 80미만 70이상이면 'C', 70미만 60이상이면 'D', 그 미만이면 'F'를 출력하는 Code를 작성하라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("점수를 입력하세요 : ");
        int i = scanner.nextInt(); // 점수 입력
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String grade = "";
        switch(i/10) { // 점수를 10으로 나눈값 판별
        case 10: // 값이 10 or 9이면 A
        case 9:
            grade="A";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 // break문을 이용하여 종료
        case 8: // 값이 8이면 B
            grade="B";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
        case 7: // 값이 7이면 C
            grade="C";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
        case 6: // 값이 6이면 D
            grade="D";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
        default : // 그 이외에는 F
            grade="F";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ln("당신은 "+grade+"학점 입니다."); // 학점 출력
        
cs

Switch문 예제

위 예제에서 입력받은 값을 Switch문을 이용해 판별하여 학점을 분류한다. 점수를 10으로 나눈값으로 앞자리 수를 이용해 학점을 분류하고

위 switch문처럼 case 10;과 case 9 처럼 break문이 없이 사용하면 조건을 or 로 묶어서 판별을 할 수 있습니다.